행정안전부가 문재인 정부 혁신 사례를 세계 각국에 전파한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한국의 정부혁신 사례를 세계 각국과 공유하고 열린 정부 구현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15일부터 18일까지 체코와 조지아를 방문한다. ‘한-EU 공공행정협력단’은 15일부터 16일까지 체코에 정부 대표단(수석대표 심보균 차관)은 17일부터 18일까지 조지아 ‘열린정부파트너십(Open Government Partnership, 이하 OGP) 제5차 글로벌서밋’에 파견된다. 우선 ‘한-EU 공공행정협력단’(단장 심보균 차관)은 16일 체코 프라하에서 ‘한-체코 공공행정협력포럼‘을 개최한다. ‘공공행정협력단’은 이 자리에서 전자정부, 주민등록, 사이버수사, 국가통계 등 총 10가지 공공행정 분야를 주제로 체코 정부와 양국 정책 사례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이어,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과 스트로우할(Strouhal) 체코 내무부 차관은 16일 체코 내무부에서 양자면담을 갖고 공공행정 협력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한 후 EU 국가 최초로 한-체코 공공행정협력 양해각서(MOU)에 서명할 예정이다. MOU 주요 내용은 ▲행정개혁, 전자정부법, 민원서비스 분야 협력 ▲
글로벌 블록체인 기술 전문기업 후오비 코리아의 김성식 최고기술책임자(CTO)는 1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열린 ‘체이너스 2018’ 컨퍼런스 중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거래소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의 강연에서 “암호화폐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거래소가 단순 중개에 그치지 않고 고객의 자산을 지킨다는 목표로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해킹 등의 이슈로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신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안전한 거래소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암호화폐 업계의 보안을 강조하면서 거래소의 철저한 인증과 자산의 분산 보관이 필요하다”며 덧붙였다. 김 CTO는 “통상 거래소들은 가상화폐 보유분을 거래가 자유로우면서 인터넷과 연결된 핫월렛과 오프라인 전용으로 해킹에서 안전하지만 거래가 불편한 콜드월렛에 나눠 보관한다”며 “최근 국내외 해킹 사례는 대부분 핫월렛에 보관하던 코인을 대상으로 해킹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진 것처럼 전체 디지털 자산의 보유 방법뿐만 아니라 망분리 역시 중시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후오비의 경우 언제든지 있을 수 있는 해킹을 예방하기 위해서 로그인 시 멀티 시그니처 방식으로 인증을 받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