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분산형 P2P 거래시스템인 얀트(YANT)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GBIH LIMITED(대표 블리스 윤)는 15일 12시부터 3개월간 얀트코인 에어드롭 이벤트를 실시한다. 100여종의 암호화폐를 동시에 보관, 전송, 거래할 수 있는 얀트 암호화폐 지갑의 론칭을 기념하여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구글플레이 스토어에서 얀트 전자지갑(YANT WALLET) APP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300 얀트코인을 무상으로 지급한다. 얀트 암호화폐 지갑은 자체에 거래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어 외부의 거래소가 필요 없고, 암호화폐 지갑 그 자체가 거래소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2P 방식으로 당사자끼리 직접 거래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얀트 코인은 얀트(YANT)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얀트 전용 암호화폐이다. 향후 블록체인 관련 업계 파트너쉽을 통해 보상형 P2P 크라우드 펀딩, 선불카드충전, 상품구매 결제, 이벤트성 결제 등 사용과 활용 범위는 계속 확장될 예정이다. GBIH는 전 세계 동시에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를 통해 고객들이 얀트 암호화폐 지갑의 장점을 경험해 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무상으로 지급되는 얀트코인으로 이
GBIH LIMITED.(대표 블리스 윤)가 일본, 대만, 베트남에서 얀트(YANT) 블록체인을 소개하고 각국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논의하는 ‘얀트 아시아 밋업 투어’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13일 밝혔다. 1월 말 대만 1차 밋업을 시작으로 최근 일본, 대만 (2차), 베트남으로 이어진 행사에 각 국의 블록체인 비즈니스 전문가와 인플루언서, VC, 전문투자자 등이 모여 얀트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과 향후 서비스 내용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 누구와도 실시간으로 다종의 암호화폐를 P2P 방식으로 거래할 수 있는 얀트 전자지갑의 상용화를 앞둔 시점에서 열려, 많은 전문가와 투자가들의 기대감 속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기존 거래소 시스템과 비교하여 해킹에 안전하고 100여종의 암호화폐를 하나의 지갑에 보관할 수 있으며 개인 간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한 얀트 블록체인의 진화된 P2P 거래시스템에 대해 참석자들이 깊은 관심을 보였다. GBIH는 이번 아시아 밋업 행사를 통해 얀트 블록체인 저변 확대에 많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글로벌 블록체인 전문가와 교류를 늘리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GBIH
오레두 그룹(Ooredoo Group)이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 P.I. 웍스(P.I. Works)의 인공 지능 솔루션을 통해 중동, 북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의 5G 네트워크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오레두 그룹은 아주 짧은 시간 내에 네트워크 효율성과 비용을 최적화한 확실할 결과를 가져다 준 P.I. 웍스의 중앙집중식 자가조직 네트워크(C-SON) 솔루션을 인도네시아와 미얀마에 성공적으로 배치한 데 이어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이 기술을 출시했다. 이번 출시를 통해 중동, 북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 지역 기업의 사업장에서 수억에 이르는 오레두 고객들이 크게 강화된 네트워크 도달범위와 연결성(connectivity), 첨단 모바일 앱, 대규모 행사에서 보여준 강화된 용량, 그리고 5G 기반으로 구현되는 사물인터넷(IoT) 혁신 등을 경험하고 있다. 오레두 그룹은 특히 카타르 시장에서 P.I. 웍스와 협력해 5G 네트워크가 제 기능을 다하도록 자동화시키고 있는데 이는 4G 및 5G 기술이 서로 조화롭게 작동하도록 지원하게 될 신개발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오레두는 새로운 체험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5G를 전국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오레두
CSC가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사이버보안 및 사회기반시설 보안청과 영국 사이버보안센터, 그리고 시스코 탈로스 파이어아이, 아카마이를 포함한 선도적 보안 업체들과 공동으로 기업체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최근 널리 확산되고 있는 국가가 지원하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탈취 공격에 경계할 것을 경고했다. 이러한 최근 공격의 대상은 정부 기관, 기업체, 통신업체 및 인프라 독립체들로서 이들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웹사이트와 이메일의 방향을 변경하는 수법을 사용한다. CSC와 관련 보안 기관들은 기업체들이 항상 방심하지 말고 보안 프로토콜을 적용해 노출을 줄일 것을 촉구한다. 마크 플레그(Mark Flegg) CSC 보안 서비스 용 제품 담당 이사는 “DNS 공격은 합법적인 사이트의 웹 통신 내용을 사기 사이트로 빼돌리는 범죄행위로서 고객과 기업체들을 매우 위험한 위기에 빠트릴 수 있다”며 “최근의 공격은 많은 기업체들이 일단 구축해 놓고 등한시하는 DNS인프라의 약점을 악용하는 등 복잡하고 악랄하다. 고객들이 디지털 인프라를 안전하게 해주는 툴과 권고사항을 사용할 것을 강력히 권유한다”고 말했다. CSC는 DNS탈취 위험과 기타 사이버 범죄에 대응해
체인 드래곤(Chain Dragon)은오는 8일 오후 6시 30분 강남 테헤란로 415스파크플러스 선릉점에서 밋업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체인 드래곤은 이번 밋업의 주제는 '실물경제와 블록체인'이라고 밝혔다. 체인 드래곤은 3월 싱가포르의 두바이 세계 무역 센터(DWTC)에서 열린 블록 챌린지 행사에 참석하고 공식적으로 ExShell에 상장발표했다. 체인 드래곤(Chain Dragon)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광산 자산 거래 플랫폼이다. 거래 플랫폼을 통해 철광석, 석탄 광산, 비철금속, 희귀 기술 및 기타 자원의 블록체인거래가 지원된다. 뿐만 아니라 광산정보 게시, 형평감사 및 발급 기능 생성이 포함하여 노드 발행자, 법률 회사, 회계 법인 및 모든 민간 투자자의 데이터 및 자산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된다. 이번 밋업에서는 모든 참가자에게 에어드랍, 추첨상금도 준비될 예정이며 참가신청은 온오프믹스에서 신청가능하다.
비자(Visa)와 플라네타 인포매티카(Planeta Informatica)가 전세계 대중교통업체들이 비접촉식 지불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쉽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기술을 출시한다고25일 발표했다. 대중교통 기관 및 사업자들은 비자 보안 액세스 모듈(Visa Secure Access Module, SAM)을 통해 탑승자들이 비접촉식 카드,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등을 탭해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을 쉽게 구축할 수 있으며 이 때 기존의 개찰구나 단말기 하드웨어를 교체하느라 추가적인 비용이나 기술적 요구사항이 필요하지 않다. 비접촉식 지불은 전세계 주요도시에서 승객들이 표를 사거나 충전하느라 줄을 서서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도와주면서 대중교통의 미래를 구체화하고 있다. 최근에 개찰구와 단말기 리더 등에 투자한 교통 사업자들에게 비자 SAM은 고객경험을 개선해 더 많은 이용을 유도하고 표를 사느라 소모되는 시간을 줄여주는 등 비접촉식 교통 경험의 장점을 제공하는 비용효율적인 솔루션이 될 수 있다. 교통 사업자들은 새로운 개찰구나 하드웨어를 설치하는 대신 안전한 EMV® 비접촉 기술에 기반한 비자 SAM을 기존 시스템에 직접 설치하기 때문
블록체인 온라인 광고 플랫폼 ACA Network는 모회사인 전자책 서비스 및 블록체인 사업을 다루는 일본로켓스탭 주식회사를 통해 전세계에서 퍼지고있는 토큰 이코노미 열풍을 알기쉽게 설명한 ‘토큰 이코노미 비즈니스의 교과서’를 3월 20일부터 일본 전국 서점에서 발매한다. ■책의 내용 토큰 이코노미를 모르고서 앞으로의 비즈니스는 말할 수 없다. 토큰 이코노미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토큰에 의한 새로운 디지털 경제권이다. 지금까지 국가에서 밖에 할 수 없었던 ‘통화’의 발행이 누구나 할 수있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전세계에서 전개되는 토큰 이코노미 열풍이 앞으로의 비즈니스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IT 기업의 경영자가 경험한 토큰 이코노미의 ‘지금’을 대공개. ■목차 정보 제 1 장 블록체인이 가져온 토큰 이코노미 제 2 장 토큰 이코노미에서 우리의 경제 활동은 어떻게 바뀔까? 제 3 장 토큰 이코노미의 개척자 제 4 장 토큰 이코노미 사업, 이렇게하면 성공한다 제 5 장 토큰 이코노미가 만들어내는 ‘미래’란? ■특별 혜택 자작 토큰을 만들 수 극비 설명서 토큰 경제의 선구자 특별 인터뷰 ■저자에 관하여 고영욱 : 로켓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및 그 밖의 암호화폐를 매매할 수 있는 캐나다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인 코인스퀘어(Coinsquare)가 스텔라엑스(StellarX)를 인수했다고14일 발표했다. 스텔라엑스의 인수는 코인스퀘어가 지난해 12월 블록EQ(BlockEQ)를 인수한 후 바로 이루어졌는데 BlockEQ 는 브랜드 이미지를 새롭게 하여 스텔라엑스 플랫폼의 앵커 월렛(anchor wallet)이 된다. 코인스퀘어의 콜 다이아몬드(Cole Diamond) 최고경영자는 “우리는 암호화폐 시장이 번창할 것이고 이를 채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확신하고 있다”며 “스텔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결제 네트워크이며 스텔라엑스가 더욱 널리 채택되어 업계를 선도하는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스텔라엑스는 스텔라의 세계 시장을 겨냥한 완전한 기능을 갖춘 최초의 트레이딩 앱(trading app)으로 진정한 분산형 거래소로 운영되는데 이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자금을 단독으로 관리하고 거래는 다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텔라엑스는 전혀 자금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부터는 BlockEQ 공동설립자인
차세대 분산 원장 플랫폼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가 아시아 태평양(APAC) 지역 사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현재 헤데라는 싱가포르, 한국 및 일본에 진출해 있다. 헤데라 해시그래프는 지난 2018년 1억 2천 4백만달러를 투자받으며 세계 시장에서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다. 이에따라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빠르고 공정하며 안전한 공공 네트워크 구축에 역점을 두고 있다. 아시아에서 증가하는 수요를 활용하고 기업들이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분산화된 원장 솔루션을 채택할 수 있게 한다는 전략이다.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업은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 린치 아시아의 자산 담보부 거래 및 신디케이션 총괄 겸 자산 담보부 채권 담당 공동 총괄을 역임한 에드가 세아(Edgar Seah)가 책임을 맡고 있다. 또, 사미 미안(Sami Mian)이 헤데라의 일본 및 한국 지역 총괄에 임명됐다. 사미 미안은 이전에 씨티그룹과 도이치 뱅크에서 고위 요직을 맡는 등 금융 업계에서 15년 이상의 경험을 쌓았다. 맨스 하먼(Mance Harmon) 헤데라 해시그래프 최고경영자겸 공동 설립자는 “각 산업 부문이 융합되어 분권화의 잠재력
해킹과 조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거래소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다양한 방식의 P2P 거래시스템이 등장하였지만 에스크로, 제3자 확인, 국제 간 거래 제한 등 불편함이 여전하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의 블록체인 생태계를 개발하고 있는 GBIH LIMITED(대표 블리스 윤)가 얀트(YANT) P2P 거래시스템을 공개한다고 28일 밝혔다. 얀트 P2P 거래시스템의 핵심은 얀트 전자지갑의 기능이다. 전자지갑 자체에 거래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어 외부 거래소가 필요 없고 얀트 전자지갑 자체가 거래소 기능을 수행한다. 암호화폐가 외부로 이전되지 않고 자신의 전자지갑에서 P2P 방식으로 당사자끼리 직접 거래할 수 있어 해킹과 조작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복잡한 등록 절차 없이 전 세계의 누구와도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적 제약이나 어떤 외부적 간섭도 존재하지 않는다. 100여종의 암호화폐를 하나의 지갑에 보관할 수 있고 기존 거래소가 필요 없는 얀트 P2P 거래 시스템은 혁명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얀트 전자지갑의 P2P 거래를 지원하는 얀트 블록체인도 차별화된 기술로 평가된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타 블록체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