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안면 인식 기술의 선두주자 CyberLink Corp (5203.TW)가 QNAP® Systems Inc의 QVR Face 및 QVR Face Link 스마트 안면 인식 솔루션에 자사의 FaceMe® 솔루션을 탑재하는 내용의 파트너십을 20일 발표했다. QVR Face Link는 CyberLink의 FaceMe® SDK 탑재를 통해 마스크 착용 시에도 최대 98%의 정확도로 안면을 인식할 수 있게 됐다. NAS(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 시장의 선도기업 QNAP은 모든 규모의 소비자와 기업을 위한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QNAP은 최첨단 하드웨어 제품뿐만 아니라 NAS를 NVR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로 활용해 영상 보안 용도로 기능을 확장하는 다양한 부가 가치 애플리케이션도 제공한다. QNAP의 QVR Face Link는 CyberLink의 FaceMe® AI 안면 인식 엔진을 탑재함으로써 마스크 착용 시에도 최대 98%의 정확도로 연결된 IP 카메라의 실시간 비디오 피드를 모니터링하고,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사무실과 공장, 주거 건물, 매장에 이르는 다양한 유형의 시설에서 방문객 및 직원 관리, 출입 통제 또는 트래픽 분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메인넷 프로토콜 캐스퍼랩스(Casperlabs)가 캐스퍼 네트워크(Casper Network)를 통한 Web3 기반 정부 인프라를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해 아랍에미레이트 정부와 업무 협약을 지난 6월 30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캐스퍼랩스는 엔터프라이즈 및 공공기관급 아키텍처에 대한 Web3 솔루션을 제공 및 기술 제휴를 통해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비즈니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캐스퍼랩스는 리드벤처스(Lead Ventures)와 함께 현지 정부 기관 및 UAE 기반 기업과 협력하여 캐스퍼(Casper) 보안, 확장성 및 분산화 조합을 활용하는 혁신적인 사용 사례를 개념화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캐스퍼 네트워크(Casper Network)를 통해 기관들을 대상으로 전문 서비스와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지원한다. 아랍에미레이트 정부는 블록체인 전략 2021을 발표한 바 있으며, 미래 공공분야를 위해 블록체인 및 여러 신기술의 적용을 시도하고 있는 것은 물론 여러 Layer 1 프로젝트 등에 대해 수년간 연구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캐스퍼랩스 관계자는 “이번 협약으로
문스테이크는 세계 최대 블록 체인 기반 운영 체제 중 하나 인 TRON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TRON 재단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문스테이크는 TRON의 기본 토큰인 TRX 코인을 지갑에 스테이킹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하며 양측은 TRON 및 문스테이크 생태계의 채택을 촉진하기 위해 커뮤니티 구축 및 마케팅 활동에 협력한다. 문스테이크와 TRON은 또한 최적화된 거래 수수료로 인해 DeFi 공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블록 체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DeFi 부문에서 추가 협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문스테이크는 올해 3월부터 핵심 제품을 출시하고 최근 얼리 어답터를 위한 락드롭을 시작한 새로 출시된 DeFi 플랫폼 인 Muse.Finance와 함께 DeFi에 공식적으로 진입했다. 문스테이크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스테이킹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2020년에 스테이킹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2000개 이상의 암호 화폐를 지원하는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웹 지갑과 모바일 지갑 (iOS / Android)을 개발했다. 2020년 8월에 본격적인 운영이 시작된 후 문스테이크의 총 스테이킹 자산은 빠르게 성장하여
싱가포르 블록체인 기업 트러스트버스(TrustVerse)가 미국의 금융권 블록체인 기업인 R3와 마스터키의 상용 글로벌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마스터 라이선스 및 프로페셔널 계약(이하 MLSA)’을 6월 4일에 체결했다고 10일밝혔다. MLSA는 R3의 기업형 블록체인 상에서 코어댑(CorDapp)을 지원하기 위한 코다 엔터프라이즈 라이센스로, 스마트컨트렉트의 공증(Notary), 기업형 네트워크 관리 라이센스를 포함한다. 해당 라이선스는 ‘마스터키’ 서비스의 공식 상용화를 위한 것이며, 기업형 분산원장을 활용하여 금융계약, 중앙화폐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협력이다. 마스터키는 현재 기존 암호자산 뿐만 아니라, 최근 화두에 오른 디파이(DeFi) 및 NFT와 관련된 원장화된 디지털 자산이 기록되는 지갑들의 프라이빗 키의 복구를 소유자 개인만의 정보(3FA)로 복구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비수탁이기 때문에 현재 협의중인 해외 은행들 역시, 고객들을 위한 보안 서비스로 채택하기 위한 심사를 긍정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실서비스 구현이 기업형 서비스로 안착됨에 따라, 트러스트버스는 R3의 최상위 기업형 라이선스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이 밖에도 해외 중앙은행 및 시중은
세계 최초의 튜링 완전 FBA(Federated Byzantine Agreement) 네트워크인 플레어 네트워크(Flare Network)가 탑티어 투자사들로부터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플레어는 가장 최근의 펀딩 라운드에서 키네틱 캐피탈(Kenetic Capital)을 중심으로 디지털 커런시 그룹(Digital Currency Group), 코인펀드(Coinfund), LD캐피탈(LD Capital), 씨펀드(cFund), 웨이브 파이낸셜(Wave Fiancial), 보더리스 캐피탈(Borderless Capital), 그리고 백엔드 캐피탈(Backend Capital) 등의 유명 투자사로부터 총 1130만달러를 모금했다. 플레어는 이 외에도 개인 투자자 비니 링햄(Vinny Lingham), 도권(Do Kwon), 라이트코인 창립자인 찰리 리(Charlie Lee)와 뉴폼 캐피탈(Newform Capital), 제네시스 캐피탈(Genesis Capital), ZB그룹(ZB Group), MXC 및 디파이 캐피탈(DeFi Capital)로부터 추가 자금을 유치했다. 플레어 네트워크의 공동 창업자 겸 CEO 휴고 필리온(Hugo
캔버스(Canvas)는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 프리미엄 시계에 대한 감정과 인증 그리고 위탁 및 옥션 판매가 가능한 원스탑 마켓플레이스이다. 최근 당근마켓을 통해 다양한 명품시계 거래가 개인간에 이루어지고 있지만, 해당 제품에 대한 이력, 구성품, 상태, 진위여부를 초보가 확인하기란 쉽지 않다. 무엇보다도 시세 감정은 더욱 더 힘든 부분이다. 또한 고가 물건에 대한 개인간의 현금 또는 계좌거래는 더욱 더 위험한 부분이다. 많은 시계 컬렉터들이 갈망하는 시계인, 파텍필립의 노틸러스(Nautilus) 라인 또는 리차드 밀(Richad Mille) 의 특정 모델들의 시세는 최근 2년간 3배 이상의 가격 상승이 있었다. 미술품 만큼이나 투자가치가 있으며 희소성마저 높다. 이러한 컬렉션을 판매하는 곳은 공신력있는 옥션회사인 소더비, 크리스티스 또는 Antiquorum 등이 있다. 다만, 낙찰 후 27%에 달하는 구매 수수료, 인증서, 무엇보다도 국내 거주자라면 관세를 피할 수 없다. 트러스트버스는 국내 인공지능 레그테크 스타트업인 (주)애널리틱스와 협력하여, 감정평가 완료된 인증서의 원장화 및 거래 이력을 R3 Corda 블록체인에 구축하였다. 자체 서비스인 마스(
문스테이크는 16일 엔터프라이즈급 규모의 보안 및 지원을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블록 체인 인프라를 제공하는 오브스(Orbs)와 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 체결을 통해 문스테이크는 곧 오브스의 공식 토큰인 ORBS를 문스테이크 월렛에서 스테이킹을 지원하고 오브스 블록 체인 생태계에 더 많이 참여할 것이다. 두 회사는 또한 은행 및 금융 산업에서 블록 체인 및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에 대한 인식과 채택을 높이기 위해 커뮤니티 구축 프로그램, 연구, 교육, 이벤트 및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또한 문스테이크와 오브스는 동남아시아 및 중동 지역의 금융 기관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의 추가등의 잠재적 제공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아시아 최대의 스테이킹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난해 스테이킹 사업을 시작한 문스테이크는 웹 버전 지갑과 모바일 지갑 (iOS / Android)를 잇달아 개발하여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했다. 작년 8월에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지 불과 반년 만에 스테이킹 자산 총액이 8000억원 이상을 달성 및 세계 톱 10 스테이킹 제공자로서 랭킹이 되는등 단기간에 급성장을 이루었다. 오브스는 비즈니
인공지능(AI), 얼굴 인식 기술의 선두 주자 CyberLink Corp.(5203.TW)가 자사의 고정밀 얼굴 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FaceMe®를 Vypin eScreener™ 키오스크에 탑재하는 내용의 파트너십을 10일 발표했다. 이로써 Vypin eScreener™ 키오스크는 얼굴 인식, 마스크 감지, 디지털 손 소독제 및 체온 검사 등 각종 인식 및 보안 기능을 탑재해 최첨단 터치식 출입 통제 및 보안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관건은 필수 대면 서비스를 그대로 두면서 해당 공간의 안전성과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다. Vypin은 근무 환경과 고객 편의성을 희생하지 않고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최신 자동 검사 기술을 갖춘 Vypin eScreener™ 키오스크를 출시했다. CyberLink FaceMe® SDK는 eScreener™ 키오스크가 마스크 착용 감지와 함께 10만개 이상의 얼굴을 식별해 가장 빠르게 정보를 스캔하고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CyberLink 회장 겸 CEO 자우 황 박사는 “얼굴 인식 기술은 코로나19와 치열한 싸움을 벌이는 우리
트러스트버스는 유일한 아시아 블록체인 스타트업으로서, 작년 20년도 7월 부터, R3 CBDC(디지털 중앙화폐) Tier-1 표준화 워킹그룹에 초대되어, 기술, 임팩트, 정책 부문 그룹에 전반적으로 참여했다. R3는 뉴욕에 본사를 둔 금융블록체인 다국적기업이며, NASDAQ의 증권거래시스템을 블록체인으로 구축한 바 있다. 21년 1분기 부터는 CBDC 샌드박스에 정식적으로 참여되어, 자사의 Corda 기업형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이례로,(마스터키, 마스, 캔버스(디지털 ID 인증 상거래 서비스))를 리테일 쪽 서비스로 발전시키는데 기여를 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R3의 주요 멤버로 있는 개발은행, 중앙은행 및 금융권과 서비스를 공동구축 및 적용할수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을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CBDC 리서치 센터에 관련 서비스 툴킷에 포함, 기술 표준화 및 개발하는데 기여를 하게 된다. 현재까지는 CBDC 표준화 그룹에서는 CBDC의 개념정립(의사결정 프로세스, 거버넌스, CBDC 구축 및 상호운용성 지원), 화폐 분류체계 정립, 피처 및 디자인(현존하는 화폐 체계/구성 및 기능성), 증권결제시스템, 국가 간 지불 결제 등(기존 네트
문스테이크 지갑이 곧 CENNZ 스테이킹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며, 센즈넷(CENZZnet)의 스테이킹을 검증자로서 세계 최초로 지원하는 지갑임을 발표한다. 문스테이크는 CENNZnet에 API 연결을 완료하고 스테이킹 대응의 개발 준비를 착실하게 진행시켜 왔다. 현재 문스테이크 지갑은 센트럴리티의 기본 토큰인 CENNZ의 보유 및 전송을 지원하고 있으며 곧 스테이킹 기능을 갖추게 된다. 스테이킹 지원 시작 후 사용자는 문스테이크 지갑으로 스테이킹을 통해 CPAY를 스테이킹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아시아 최대의 스테이킹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난해 스테이킹 사업을 시작한 문스테이크는 웹 버전 지갑과 모바일 지갑 (iOS / Android)를 잇달아 개발하여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했다. 작년 8 월에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지 불과 반년 만에 스테이킹 자산 총액이 5000억원 이상을 달성하며 단기간에 급성장을 이루었다. 문스테이크는 Cosmos, IRISnet, Ontology, Harmony, Tezos, Cardano, Qtum, Quras, Polkadot와 같은 9개의 주요 코인의 스테이킹을 지원하며 곧 센트럴리티의 스테이킹을 시작할 예정이다. 문스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