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스테이크는 16일 엔터프라이즈급 규모의 보안 및 지원을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블록 체인 인프라를 제공하는 오브스(Orbs)와 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 체결을 통해 문스테이크는 곧 오브스의 공식 토큰인 ORBS를 문스테이크 월렛에서 스테이킹을 지원하고 오브스 블록 체인 생태계에 더 많이 참여할 것이다. 두 회사는 또한 은행 및 금융 산업에서 블록 체인 및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에 대한 인식과 채택을 높이기 위해 커뮤니티 구축 프로그램, 연구, 교육, 이벤트 및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또한 문스테이크와 오브스는 동남아시아 및 중동 지역의 금융 기관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의 추가등의 잠재적 제공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아시아 최대의 스테이킹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난해 스테이킹 사업을 시작한 문스테이크는 웹 버전 지갑과 모바일 지갑 (iOS / Android)를 잇달아 개발하여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했다. 작년 8월에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지 불과 반년 만에 스테이킹 자산 총액이 8000억원 이상을 달성 및 세계 톱 10 스테이킹 제공자로서 랭킹이 되는등 단기간에 급성장을 이루었다. 오브스는 비즈니
인공지능(AI), 얼굴 인식 기술의 선두 주자 CyberLink Corp.(5203.TW)가 자사의 고정밀 얼굴 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FaceMe®를 Vypin eScreener™ 키오스크에 탑재하는 내용의 파트너십을 10일 발표했다. 이로써 Vypin eScreener™ 키오스크는 얼굴 인식, 마스크 감지, 디지털 손 소독제 및 체온 검사 등 각종 인식 및 보안 기능을 탑재해 최첨단 터치식 출입 통제 및 보안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관건은 필수 대면 서비스를 그대로 두면서 해당 공간의 안전성과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다. Vypin은 근무 환경과 고객 편의성을 희생하지 않고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최신 자동 검사 기술을 갖춘 Vypin eScreener™ 키오스크를 출시했다. CyberLink FaceMe® SDK는 eScreener™ 키오스크가 마스크 착용 감지와 함께 10만개 이상의 얼굴을 식별해 가장 빠르게 정보를 스캔하고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CyberLink 회장 겸 CEO 자우 황 박사는 “얼굴 인식 기술은 코로나19와 치열한 싸움을 벌이는 우리
트러스트버스는 유일한 아시아 블록체인 스타트업으로서, 작년 20년도 7월 부터, R3 CBDC(디지털 중앙화폐) Tier-1 표준화 워킹그룹에 초대되어, 기술, 임팩트, 정책 부문 그룹에 전반적으로 참여했다. R3는 뉴욕에 본사를 둔 금융블록체인 다국적기업이며, NASDAQ의 증권거래시스템을 블록체인으로 구축한 바 있다. 21년 1분기 부터는 CBDC 샌드박스에 정식적으로 참여되어, 자사의 Corda 기업형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이례로,(마스터키, 마스, 캔버스(디지털 ID 인증 상거래 서비스))를 리테일 쪽 서비스로 발전시키는데 기여를 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R3의 주요 멤버로 있는 개발은행, 중앙은행 및 금융권과 서비스를 공동구축 및 적용할수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을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CBDC 리서치 센터에 관련 서비스 툴킷에 포함, 기술 표준화 및 개발하는데 기여를 하게 된다. 현재까지는 CBDC 표준화 그룹에서는 CBDC의 개념정립(의사결정 프로세스, 거버넌스, CBDC 구축 및 상호운용성 지원), 화폐 분류체계 정립, 피처 및 디자인(현존하는 화폐 체계/구성 및 기능성), 증권결제시스템, 국가 간 지불 결제 등(기존 네트
문스테이크 지갑이 곧 CENNZ 스테이킹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며, 센즈넷(CENZZnet)의 스테이킹을 검증자로서 세계 최초로 지원하는 지갑임을 발표한다. 문스테이크는 CENNZnet에 API 연결을 완료하고 스테이킹 대응의 개발 준비를 착실하게 진행시켜 왔다. 현재 문스테이크 지갑은 센트럴리티의 기본 토큰인 CENNZ의 보유 및 전송을 지원하고 있으며 곧 스테이킹 기능을 갖추게 된다. 스테이킹 지원 시작 후 사용자는 문스테이크 지갑으로 스테이킹을 통해 CPAY를 스테이킹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아시아 최대의 스테이킹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난해 스테이킹 사업을 시작한 문스테이크는 웹 버전 지갑과 모바일 지갑 (iOS / Android)를 잇달아 개발하여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했다. 작년 8 월에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지 불과 반년 만에 스테이킹 자산 총액이 5000억원 이상을 달성하며 단기간에 급성장을 이루었다. 문스테이크는 Cosmos, IRISnet, Ontology, Harmony, Tezos, Cardano, Qtum, Quras, Polkadot와 같은 9개의 주요 코인의 스테이킹을 지원하며 곧 센트럴리티의 스테이킹을 시작할 예정이다. 문스테
인공지능(AI), 얼굴 인식 기술 선두 주자이자 FaceMe® AI 얼굴 인식 기술 개발 업체인 CyberLink Corp.(5203.TW)가 최신 1:1 인식(WILD, 1E-5) 안면 인식 벤더 테스트(FRVT)에서 6위에 올랐다. FRVT는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진행하는 얼굴 인식 기술 평가로, 얼굴 인식 정밀도 부문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한다. 6위는 글로벌 사업에 제한이 있는 중국 업체를 제외하면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FaceMe®는 WILD(1E-5) 테스트에서 96.98%의 높은 정확도를 달성했다. WILD(1E-5) 테스트는 실제 보안 및 감시 환경에 얼굴 인식 기술을 탑재한 상태에서 진행하는 테스트로 극단적인 인식 각도, 충분하지 않은 조명, 부분적으로 가려진 시야 등 극한 조건에서 이뤄진다. FaceMe®는 업계 최고 수준의 영상 보안 솔루션으로 가장 정확한 얼굴 인식 엔진을 통해 최고 레벨의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입증됐다. FaceMe®는 마스크 감지 및 보호 부문에서도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중국, 러시아 업체를 제외하면 글로벌 7위로, 이는 지난 NIST 테스트보다 50% 향상된 수치다. 마스크 감지 및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대표 이석우)는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본인가를 받아 ‘업비트 태국’(대표 Peeradej Tanruangporn)이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업비트 태국은 최근 태국 SEC가 감독하는 디지털 자산 사업 중 ▲디지털 자산 거래소 ▲디지털 토큰 거래소, ▲디지털 자산 위탁매매, ▲디지털 토큰 위탁매매 4개 분야의 라이센스를 획득했다. 지난해 8월, 태국 현지 사업자 최초로 동일한 4개 분야의 예비 허가를 취득한 데 이어 5개월 만에 SEC의 감사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본인가를 받음으로써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 태국 현지 시간 20일 문을 연 업비트 태국은 가장 신뢰받는 글로벌 표준 디지털 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수년간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거래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업비트 태국은 PC 웹과 안드로이드 및 iOS 앱으로 이용 가능하다. 정식 서비스 시작을 기념해 업비트 태국 신규 가입자 모두에게, 주문 유형과 관계 없이 메이커 수수료는 0%, 테이커 수수료는 0.1%로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한편, 두나무는 2018년 10월 업비트 싱가포르 서비스
NGC 벤처스 등에서 39억 원 시드 투자를 유치한 탈중앙화 거래소 시프체인(Sifchain)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시프체인 테스트넷 몽키바에 코스모스와 이더리움 연결 브릿지인 페기(Peggy)를 배포했다”고 7일 (현지시간) 밝혔다. 시프체인은 코스모스 SDK를 활용해 구축된 암호화폐 거래소 프로토콜로서, 스텔라나 이더리움과 같은 약 25개의 블록체인이 크로스체인 통합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블록체인 통합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도록 구현하여 코스모스 커뮤니티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개발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시프체인 프로젝트 리드 루크 김은 “시프체인은 블록체인 간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페기를 통해 이더리움과 시프체인 간 자산 전송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사용자는 시프체인 네트워크 상의 자산을 자유롭게 활용하는 동시에 스왑이나 추가 투자를 실행할 수 있다”며 “사용자가 자산 활용을 끝냈다면, 언제든 페기를 다시 이더리움으로 옮겨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이러한 연결 브리지의 배포는 시프체인이 모든 블록체인의 유동성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덧붙였다. 시프체인 베타넷은 이번 달 25일 출시될 예정이며, 지난 해
요즈마그룹코리아(아시아 총괄 대표 이원재)는 7개월간 국내 스타트업 8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했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요즈마그룹코리아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진행하는 ‘K-Global 액셀러레이터 육성 사업’의 하나다. 요즈마그룹코리아는 해당 사업을 통해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창업 3년 미만 스타트업 8곳에 전문 교육 및 글로벌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고, 초기 투자까지 연계 지원하고 있다. 현재 K-Global 액셀러레이팅 육성 사업에 참여 중인 기업은 ▲메디팜소프트(인공지능 기반 심장질환 자동판독 시스템), ▲소셜인프라테크(블록체인 기반 문서인증 관리 서비스), ▲씨엔엘 테라퓨틱스(줄기세포 치료제), ▲에스 헬스케어(키즈 헬스케어 콘텐츠), ▲퍼블리시(블록체인 기반 CMS 시스템), ▲해시 브랜드(명품 리셀링 거래 플랫폼), ▲컬렉터스(패션 취향 공유 커뮤니티 앱), ▲테일러트레일(여행일정 플랫폼) 총 8곳이다. 요즈마그룹코리아는 이들 가운데 투자 유치 의사를 밝힌 퍼블리시, 소셜인프라테크, 해시 브랜드, 에스 헬스케어, 테일러트레일 5개사에 대해 투자를 진행했다. 퍼블리시는 독자가 언론사 기
글로벌 컨설팅 기업 알릭스파트너스(AlixPartners)가 현직 컨설턴트들이 뽑은 ‘가장 일하기 좋은 컨설팅 기업(Best firm to work for)’ 순위 상위권에 3년 연속으로 이름을 올렸다고 18일 밝혔다. ‘가장 일하기 좋은 컨설팅 기업’은 미국 내 현직 컨설턴트들이 평가에 직접 참여하여 가장 만족스러운 업무 환경을 제공하는 컨설팅 기업 20곳을 선정하는 순위 조사다. 컨설팅 업계의 진로, 인물, 기업에 관한 최신 소식을 제공하는 미국의 유력 컨설팅 전문 매체 ‘컨설팅 매거진(Consulting® magazine)’이 2015년부터 매년 해당 순위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 조사에서 알릭스파트너스는 6위를 차지하며 3년 연속 ‘가장 일하기 좋은 컨설팅 기업’ 순위 상위권으로 선정되었다. 알릭스파트너스와 함께 상위 20위 명단에 오른 컨설팅 기업은 보스턴컨설팅그룹(BCG), KPMG, EY 등이 있다. 평가에는▲커리어 개발 ▲고객사와 관계 ▲보상 및 혜택 ▲조직 문화 ▲일과 삶의 균형 ▲임원진의 리더십 등 총 여섯 가지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수치화한 점수가 반영됐다. 알릭스파트너스 최고 경영자(CEO) 사이먼 프리클리(Simon Freakley
마스터카드가 연중 최대 쇼핑 시즌인 블랙프라이데이와 성탄절 등을 맞아 올 연말까지 해외 직접구매(직구) 고객을 대상으로 배송비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마스터카드 고객은 누구나 국내 최대 규모의 직구 플랫폼인 ‘몰테일(post.malltail.com)’ 이용시 3달러를 즉시 할인받을 수 있다. 이벤트에 참여하고자 하는 고객은 각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몰테일을 배송대행지로 설정한 후 배송비 결제시 국내에서 발급된 마스터카드의 신용 및 체크카드로 결제하면 된다. 배송신청서 작성 기준으로 해외 직구 상품이 50달러(미국센터 기준) 이상 구매시 적용되며 원화가 아닌 달러로 결제해야 한다. 구매 금액 50달러 기준을 각국 센터로 환산시, 몰테일 독일 센터는 40유로, 영국 센터 35파운드, 일본 센터 5500엔, 중국 센터는 350위안으로 적용된다. 기간은 올 연말까지로 선착순 4만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몰테일의 웹 또는 모바일 배송비 최종 결제 확인 창에서 3달러 할인이 적용된 내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타 카드사 이벤트와 중복 할인도 가능하다. 선착순 인원은 몰테일 이벤트 페이지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