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뉴스

금융노조 4차 산업혁명 대책위원회 발족

4차 산업혁명 위험성 과소평가, 고용불안 등 대응방안 모색해야
사측도 즉각 사용자협의회 및 산별교섭 복원하고 논의 시작해야


(핀테크경제신문 차성재 기자) 금융노조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고용위기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책위원회를 발족했다. 현장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올해 산별교섭에서 대응방안을 적극 의제화하는 등 본격적인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대책위원회는 8월3일(목) 금융노조에서 열린 첫 회의를 개최했다. 허권 금융노조 위원장이 대책위원장을, 성낙조 수석부위원장이 부위원장을 맡았으며 각 업종별 협의회 의장과 본조 정책 1, 2본부장까지 6명이 위원으로 활동한다. 또 지부 및 본조간부 17명이 실무위원으로 참여하게 됐다.
 
허권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로보어드바이저와 챗봇,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의 인터넷전문은행까지 4차 산업혁명은 이미 금융산업 전반에서 구체화되고 있다”면서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긍정적 가능성과 순기능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반면 그로 인해 초래될 고용 불안 등의 위험성은 과소평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허권 위원장은 “오늘 출범한 4차 산업혁명 대책위원회는 금융노동자 사수를 가장 큰 사명으로 삼고 넓게는 4차 산업혁명의 미래가 자본이 아닌 인간의 행복에 기여하도록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면서 “협의회 대표자 및 간부 동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대책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현재까지 각계각층에서 논의된 4차 산업혁명 담론과 문재인 정부의 정책방향 등을 공유하고 금융노조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또 각 협의회 및 위원별로 각 사업장별 4차 산업혁명 관련 진행사항을 파악해 공유하기로 했다. 2차 회의는 8월말에 개최할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의 직격탄을 맞게 될 분야로 금융산업이 첫 손에 꼽히는 상황이지만 사용자들은 눈치만 보고 있을 뿐 적극적인 노력은 전무하다. 금융노동자의 고용안정을 사수하기 위해 금융노조가 나선 만큼, 사측도 하루 빨리 사용자협의회와 산별교섭을 복원해 이 중차대한 문제를 풀어나갈 논의를 시작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차성재 기자

포토이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