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뉴스

한수원 등 발전5개사, 정규직 전환작업 정부 정책 '기만'

   중부발전 본사


[핀테크경제신문 차성재 기자] 한국수력원자력, 중부발전, 서부발전, 남부발전, 남동발전 등 발전5개사가 계약직,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 전환을 사실상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정부 정책을 기만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한전산업개발발전노조 등 원자력·화력발전소 노조는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발전소에서 정비를 하며 생명·안전과 관련한 핵심업무를 담당하고 있음에도 발전회사들이 민간발전산업 육성과 전문성을 이유로 정규직화를 거부하고 있다”며 “한수원과 5개 발전사는 국민 생명·안전과 직결된 상시·지속업무 비정규직을 제대로 된 정규직으로 전환하라”라고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김종훈 민중당 의원과 이정미·추혜선 정의당 의원,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주최했다.

기자회견 자료에 따르면 한수원과 발전 5사는 민간발전정비 협력업체 비정규직 4천여명을 정규직 전환 대상에서 제외했다. 고용노동부의 특별실태조사에 따르면 발전 5사의 비정규직은 4천 669명이다. 사측은 이들 가운데 2천 247명만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2천 422명은 전환 대상에서 제외해 전환율이 49.8%로 조사됐다. 한수원은 파견·용역노동자 7천 300명 중 2천 227명만 정규직 전환대상으로 선정해 전환률이 30%에 그쳤다.

이날 노조측과 고용노동부 관계자와의 만남에서 정부 실태조사 결과 발전소 경정비 담당 비정규직 2천여명이 비정규직 실제 인원통계에서 빠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노조 관계자는 “비정규직 현직 인원에서 2천명을 더하면 발전 5사의 정규직 전환율은 30%대로 떨어진다”고 말했다. 노조는 고용노동부에 한수원과 발전 5사의 정규직 전환실태 집중점검을 요구했다.

한편 산자부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발전정비 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위해 일정 부분 경쟁확대가 불가피하다”며 “발전정비 인력은 민간위탁 분야로 2018년 이후 실태조사를 거쳐 정규직 대상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포토이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