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블록체인 기업 칠리즈(CHILIZ)와 SBI 디지털 에셋 홀딩스(SBI Digital Asset Holdings, 이하 ‘SBI DAH’)가 3분기 내 일본 JV 설립을 완료할 것이라고 4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 5월 일본의 스포츠 팬덤 문화 확장을 목표로 합작 회사 설립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유수의 세계 스포츠 클럽 팬토큰을 발행하는 칠리즈와 5천 만 이상의 고객 기반을 확보하고 있는 SBI DAH가 합심해 일본의 팬들에게 전세계 스포츠 IP(지식재산권) 경험의 기회를 선사함과 동시에 일본 프로 스포츠 팬덤을 글로벌 단위로 확대하겠다는 포부다. 해당 조인트벤처는 이르면 올해 여름께에 설립될 예정이다. 글로벌 스포츠 팬토큰이 국경을 넘어 유통되는 만큼 양사는 국가마다 상이한 법령을 준수한 서비스 모델을 발빠르게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칠리즈 최고전략책임자(CSO) 맥스 라비노비치(Max Rabinovitch)는 “일본의 법규를 준수하며 투명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일본이나 싱가포르 등지의 법규에 있어 뛰어난 네트워킹과 이해도를 갖추고 있는 SBI DAH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인트벤처 설립이 마무리
UAE 두바이 소재의 Web3 게임 플랫폼 크레타(CRETA)는 필리핀 마닐라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자사의 게임 프로젝트와 블록체인 기술을 소개하는 크레타 미디어 데이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27일과 28일 양일간 진행된 본 행사는 크레타의 본격적인 동남아 진출을 위한 첫 행보로 필리핀 정부 인사 및 미디어, 게임 인플루언서, e스포츠 구단, 업계 관계자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조셀 바타파-시그 필리핀 정보통신기술부 차관(Jocelle Batapa-Sigue, Philippine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Undersecretary)과 도날드 림 필리핀 블록체인 협회장(Donald Lim, Blockchain Council of the Philippines President)도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크레타는 현장에서 자사의 4가지 주요 사업 분야인 크레타 멀티버스(메타버스), 크레타 슈퍼클럽(탈중앙화 게임커뮤니티), 크레타 스튜디오(게임&콘텐츠 제작), 크레타 게임 플랫폼(디지털 게임 관리)을 소개하고 프로젝트의 비전과 제반 기술에 대한 질의응답 시
글로벌 결제기술기업 비자(Visa)가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 쿠르 카레(Cour Carrée)에서 ‘비자 라이브 앳 루브르 (Visa Live at Louvre)’ 콘서트를 개최한다. 이번 공연에는 팝 스타 포스트 말론이 헤드라이너로 나서며, 전 세계 다양한 슈퍼스타들이 함께 무대를 장식할 예정이다. 공연은 현지 시간 5월 28일 오후 7시 30분에 시작한다. 또한 로블록스에서 독점 스트리밍되는 최초의 글로벌 IRL(In Real Life) 콘서트로, 전 세계 누구나 공연을 즐길 수 있다. 스트리밍은 현지 시간 오후 9시부터 진행된다. 프랭크 쿠퍼(Frank Cooper) 비자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비자 라이브 앳 루브르는 여러 측면에서 최초의 행사다”라며, “우선 올림픽과 패럴림픽 개최를 앞둔 파리를 기억에 남는 여름으로 만들어 줄 비자의 첫 번째 주요 활동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쿠르 카레에서는 처음으로 선보이는 형식의 공연으로, 로블록스에서 독점 스트리밍되는 첫 번째 글로벌 콘서트이기도 하다. 루브르 박물관과 로블록스 가상 세계에서 진행되는 포스트 말론 라이브 공연을 통해 팬들에게 혁신적이고 재미있는 음악, 예술, 기술의 특별한 경험을 제공
글로벌 언어 AI 기업 딥엘(DeepL)이 자사 AI 번역기의 경제적 효과를 다룬 연구 보고서 '딥엘의 총 경제적 효과(The Total Economic Impact™ of DeepL, 이하 ‘TEI 연구’)’를 발표했다. 딥엘이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포레스터(Forrester Consulting)에 의뢰해 진행된 TEI 연구는 AI 번역 솔루션이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명하고, 매출 증진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기업에 번역이 가장 전략적인 AI 구현 영역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자체 연구 결과, 딥엘 번역기는 기업에 345% 투자수익률과 280만 유로 (약 41억 원) 규모의 효율성 제고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는 현재 딥엘 번역기를 사용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딥엘 번역기의 이점, 리스크, 비용, 활용성 등을 평가해 진행됐다. 포레스터는 현재 딥엘을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 금융 서비스, 법률 서비스, 제약 분야 글로벌 기업 네 곳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결과 분석을 위해 네 개 기업으로 하나의 종합 조직을 구성했다. 연구 결과, 해당 조직이 딥엘을 통해 상당한 비용 절감과 향상된 효율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
CyberLink Corp.(5203.TW)가 국제 정보보안 관리 표준인 ISO/IEC 27001:2022 인증을 8일 획득했다(등록 번호 2024/108984.1). ISO 27001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CyberLink는 파트너 및 기업 고객을 위한 최고 수준의 정보보안 솔루션 제공업체로 인정받게 됐다. ■업계 최고의 FaceMe® 안면인식 솔루션, 정보보안 관리 ISO 27001 인증 획득 ISO 27001은 기업 정보 위험 관리 프로세스와 관련된 물리적, 기술적, 법적 통제에 걸친 정책과 절차로 구성된 정보보안 관리 시스템 표준이다. ISO 27001 인증은 기업이 정보보안 관리 시스템의 기밀성, 무결성 및 가용성을 확립해 정보보안을 보장하고 데이터 침해로 인한 도난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CyberLink는 안면인식 서비스 플랫폼의 개발, 관리 및 유지 관리는 물론 R&D 부서 내 관련 네트워크 플랫폼 및 정보 관리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ISO 27001 인증을 획득한 CyberLink는 암호화된 저장소, 방화벽, 로그 관리, 모니터링 경고, 네트워크 아키텍처 최적화, 스트레스 테스트, 네트워크 침투 테스트 및 취약점 검색 등 최신 네트
전 세계를 선도하는 AI 안면인식 기술 개발사 CyberLink (5203.TW)가 생명보험사 Generali Vietnam의 고객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GenVita에 자사의 안면인식 기술 FaceMe®가 탑재됐다고 밝혔다. CyberLink의 정교한 FaceMe® 안면인식 엔진과 eKYC (전자 고객 확인) 식별 및 인증을 위한 스푸핑 방지 기술을 활용해 GenVita는 보험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하는 신규 고객이나 온라인 거래를 수행하는 기존 보험 가입자의 신원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안면인식 기술의 도입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투명한 보험’을 중시하는 Generali의 사업 전략에도 큰 도움이 된다. Generali Vietnam은 보안, 투명성 및 고객 경험 향상을 위해 생명보험 부문에 e-KYC를 의무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eKYC를 적용하려면 두 가지 중요한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신규 보험 신청서 제출: 신규 고객이 계좌 및 얼굴 정보 등록을 완료한 후 고객(보험 가입자 또는 피보험자)은 보험 신청서 제출 단계에서 신원 확인을 위해 eKYC를 수행해야 한다. ■온라인 서비스 및 거래: 기존 보험 가입자는 eKYC
디지털 결제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비자(Visa)(뉴욕증권거래소: V)가 ‘비자 커머셜 페이(Visa Commercial Pay)’ 내에서 디지털 지갑 기능을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비자 커머셜 페이는 전 세계 기업의 거래 관리 방식을 혁신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가상 결제 기술 제공업체인 컨퍼마 페이(Conferma Pay)와 파트너십을 맺고 구축한 B2B 결제 솔루션 제품군이다. 이러한 혁신을 통해 금융기관들은 가상 법인 카드를 직원의 디지털 지갑(Apple Pay, Google Pay와 같은 타사 지갑 포함)에 추가하여 기업 사용자의 편의성, 보안 및 유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 확장은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에서 비자 커머셜 페이의 대규모 확장과 동시에 추진되어 다양하고 역동적인 비즈니스 환경으로 유명한 이 지역에서 간소화되고 효율적인 보안 B2B 결제에 대한 비자의 노력과 리더십을 강화해준다. 비자 커머셜 페이에는 기업의 현금 흐름을 개선하고 구식 수작업 프로세스를 줄이기 위해 개발된 가상 카드 B2B 결제 솔루션이 포함되어 있다. 2020년 출시 이후 비자 커머셜 페이는 기업들이 기존의 비즈니스 결제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자동화
AI 안면인식 분야의 선도업체 CyberLink Corp.(5203.TW)은 FaceMe® 안면인식 기술이 한국 UNIONCOMMUNITY의 최신 신원확인 솔루션인 UBio-ezPass에 탑재됐다고 밝혔다. UBio-ezPass는 FaceMe®의 고정밀 안면인식 엔진을 사용한 이중 인증 메커니즘으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다. 기존의 단일 비밀번호 방식 인증이 가지고 있던 도난 위험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환경에도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다. PC와 모바일을 모두 지원하는 UBio-ezPass 솔루션은 FaceMe® 안면인식 엔진의 높은 인식률과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위조 방지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현재 국내 금융권에 솔루션을 도입했으며 이중 인증 방식의 신원 확인이 필요한 보험사, 증권사 등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중 인증 방식의 신원 확인 UBio-ezPass는 은행에서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의 뛰어난 보안 환경을 구현하고 시스템 로그인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중 인증 방식을 채택했다. UBio-ezPass는 AD (Active Directory), SSO (단일 로그인), 인사 및 근태관리 시스템을 통합한 서버측 신원 확인 솔루션으로,
웹3.0 가상자산 지갑 플랫폼 ‘빗썸 부리또 월렛’을 운영하는 블록체인 기업 로똔다(대표 신민철)가 스위스 디지털 자산 AI 플랫폼 스마트밸러(SmartValor)와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진출 파트너로서 협력 강화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스마트밸러는 2017년에 설립된 스위스 기반의 웹3 AI 기업이자, 나스닥 퍼스트 노스(NASDAQ FIRST NORTH) 마켓에 상장한 최초의 유럽 디지털 자산 플랫폼이다. 암호화폐 AI 시장지능 API뿐 아니라 은행, 핀테크, 유럽 투자자를 위한 투자 플랫폼 및 가상자산 거래·보관 인프라를 전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빗썸 부리또 월렛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유저를 위한 수준 높은 투자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고, 스마트밸러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최적의 파트너로서 웹3 생태계 확장에 기여해나갈 계획이다. 이번 협업의 일환으로, 빗썸 부리또 월렛은 스마트밸러가 지난해 선보인 오픈소스 AI 프로젝트 일론(ELONN).AI를 지갑 서비스 내 통합한다. 일론.AI는 투자 자문 역할을 하는 AI 에이전트 제공이 주요 기능으로, 빗썸 부리또 월렛은 유저들이 AI에 의해 생성된 수준 높은 시장 분석 보고서 등을 바탕으로, 양질의 가상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솔루션 선도기업 리플(Ripple)이 자사 핵심 임원진이 예측한 2024년 암호화폐 시장 전망을 발표했다. 2023년은 암호화폐에 대한 미국 정부의 지속적인 압박이나 주요 거래소와 관련된 부정적인 소식에도 불구하고, 제도권의 암호화폐 채택이 확대되며 크립토 윈터(crypto winter)가 마무리될 조짐이 관측된 한 해였다. 토큰화된 실물 자산이 금융 및 기후 변화 대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고,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에 대한 관심이 확대됐으며, 리플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상대로 법적 승리를 거뒀다. 또 2024년 1월에 들어서는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기도 했다. 이러한 흐름을 발판으로, 리플 임원진은 2024년 암호화폐 업계가 효용성과 컴플라이언스, 전통 금융권의 채택, 그리고 규제 명확성 측면에서 주요 이정표를 달성하며 주류 채택이라는 목표를 향해 한 걸음 더 내디딜 것으로 내다봤다. 에릭 반 밀튼버그(Eric van Miltenburg) 리플 전략 이니셔티브 수석부사장은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유행을 넘어 실제 유용성과 사용 사례로 발전함에 따라, 2024년은 암호화폐의 효용성이 크게 주목받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