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블록체인 기술의 정점을 추구하는 로커스체인은 누구나 참여 가능한 상시 오픈 형태의 공개 테스트넷을 전격 개방했다고 밝혔다.
로커스체인은 이번 테스트넷을 통해 자사의 스마트 컨트랙트와 NFT 민팅 기능 등 주요 기술을 실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집중 점검하며 기술적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동시에 개발자 생태계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테스트넷은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실질적인 기술 검증과 개발자 참여를 통한 생태계 확장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기술 테스트 단계다. 로커스체인 메인넷과 동일한 구조와 아키텍쳐, 그리고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퍼포먼스 수준까지 동일하게 설계된 버전으로 기능적 완성도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안정성과 확장성 측면까지 종합적으로 점검된다.
로커스체인은 테스트넷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개선과 디버깅을 진행한 후 기술적 안정성이 확보된 요소부터 메인넷에 순차 반영할 계획이다. 이번 테스트넷은 단순한 기능 확인을 넘어 퍼블릭 블록체인의 기술적 한계를 실질적으로 점검하고 뛰어넘기 위한 공개 기술 검증 무대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로커스체인 공개 테스트넷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개발할 수 있는 전용 IDE와 NFT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이 함께 제공된다. 개발자는 로커스체인에서 솔리디티(Solidity) 언어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하고 구현 도구를 활용해 다양한 조건에서 배포와 실행을 직접 해볼 수 있다.
이에 솔리디티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개발자라면 로커스체인에서도 별도의 학습 없이 기존과 비슷한 방식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하고 실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PREVM 채널을 이용해 빠른 반응 속도로 테스트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VME (Virtual Machine Engine)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부하와 안정성까지 점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커스체인의 범용 어셋 지원 기능을 이용해 NFT를 직접 민팅하고 토큰을 생성하거나 거래할 수 있을 예정이다. NFT 민팅은 별도로 제공되는 전용 페이지에서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생성한 디지털 자산은 직접 관리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단순한 NFT 발행을 넘어 정보 기반 토큰으로의 확장까지 가능한 시스템으로 설계됐다. 해당 기능은 테스트넷 안정화 단계를 거친 후 적용될 예정이다.
사용자는 강화된 로커스체인 익스플로러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결과와 NFT·토큰의 생성 및 이동 내역, 전송 시점 등 다양한 트랜잭션 흐름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테스트 과정에서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개발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다.
로커스체인 측은 이번 테스트넷을 통해 지난해 12월 실사용 환경 테스트에서 입증한 수천 TPS(초당 트랜잭션 처리량) 단위의 처리 능력에 더해 솔리디티 등 범용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서의 기능도 함께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탈중앙화와 고성능의 공존이라는 과제를 유일하게 해결한 로커스체인의 기술력은 노드 중앙화나 고성능 하드웨어 의존 없이도 높은 TPS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경쟁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뚜렷한 차별점을 가진다.
특히 노드의 리소스 사용량이 극단적으로 낮은 구조를 채택해 저사양 기기나 제한된 인프라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기존 고성능 블록체인들이 고사양 서버 및 전문 하드웨어에 의존한 것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접근이다. 로커스체인은 단순한 속도 경쟁을 넘어 누구나 접근 가능한 저비용·고성능 퍼블릭 블록체인이라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로커스체인은 이번 테스트넷을 통해 AI 기술을 포함한 차세대 기술과의 통합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시험하고 있다. 이는 실시간 AI 연동, 대규모 사용자 행동 기반 데이터 처리, 고빈도 트랜잭션 처리 등으로 기존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처리 속도와 유연성의 한계로 인해 구현이 어려웠던 분야로 잘 알려져 있다.
로커스체인은 고성능이면서도 탈중앙화를 유지하는 구조를 통해 이러한 과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다양한 산업군으로 확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게임, 메타버스, 디지털 자산 유통, 지식 콘텐츠 분야에서는 로커스체인을 중심으로 새로운 생태계가 구축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로커스체인 관계자는 "탈중앙화 상태에서 수천 TPS를 실현할 수 있는 퍼블릭 블록체인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드물다"며, "이번 테스트넷은 로커스체인의 기술력과 생태계 확장 가능성을 실제로 시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로 개발자와 생태계 참여자 모두에게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