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 포블게이트(이하 '포블')는 글로벌 체인 추상화 프로젝트 트리아(Tria)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양사는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체인 추상화(Chain Abstraction)’ 생태계를 공동으로 육성하고 국내 일반 이용자부터 고급 투자자까지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블록체인 및 탈중앙 금융(DeFi) 생태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트리아는 그간 일반 사용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복잡한 블록체인 사용자 경험(UI/UX)을 개선하고 탈중앙 금융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는 데 집중해 왔다. 하나의 이메일 기반 계정 하나로 300개 이상의 체인에 연결된 자산과 디앱(dApp)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현재 베타 테스트를 운영 중이다.
트리아는 폴리곤(Polygon), 라이트코인(Litecoin), 바이낸스(Binance), 오픈씨(OpenSea), 베라체인(Berachain) 등 주요 웹3 프로젝트 출신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팀이 이끌고 있으며 폴리곤(Polygon), 인젝티브(Injective), 아비트럼(Arbitrum), 무브먼트(Movement) 등과의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체인 추상화는 복잡한 체인 간 구조를 사용자 경험(UI/UX) 수준에서 감춰 별도 학습이나 설정 없이도 자연스럽고 일관된 블록체인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사용자 중심의 단순화는 체인 추상화 기술의 핵심이며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한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평가받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국내 시장에서 체인 추상화 기술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공동 마케팅과 현지화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블록체인 기업과의 기술 제휴 및 협업 기회를 확대해 체인 추상화 생태계를 한국 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포블 안현준 대표는 “이번 협약은 포블이 글로벌 웹3 생태계와의 협업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트리아와의 공동 마케팅, 핀테크 기업 연계, 실사용 기반 확산 등 다양한 협력 활동을 통해 국내 이용자들이 체인 추상화 기술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트리아 공동대표 비지트 카타(Vijit Katta)는 “한국은 디지털 인프라 수준과 블록체인 수용도가 세계 최고 수준인 전략적 시장으로 새로운 기술의 빠른 현지화와 상용화가 가능한 곳”이라며 “체인 추상화 기술의 확산을 앞당기고 더 많은 사용자가 직관적인 방식으로 웹3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