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복지재단(대표 정영일)이 운영하는 진도군노인복지관(관장 장애순)은 지난 8월 28일, 도서 지역 복지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전략을 모색하는 ‘섬복지, 현재와 미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김희수 진도군수를 비롯해 학계, 지역사회, 복지 현장 전문가 등 10여 명이 참석했으며, 도서 지역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민·관·학 협력 모델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진도군노인복지관의 ‘섬복지’ 특화 사업이 주목받았다. 진도군은 43개 유인도를 보유하고 있으나 의료·복지 접근성이 떨어지는 현실이다. 이에 복지관은 ▲대면 서비스(이동 세탁·영화관, 생필품·이미용, 주거 개선, 긴급 의료 연계)와 ▲비대면 서비스(온라인 원예, 건강 관리, 체조·미술 수업)를 병행하는 ‘2-트랙 모델’을 운영하며, 섬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성을 도모해왔다. 이러한 노력은 2024년 ESG 사회공헌 아이디어 공모전 장려상, 전라남도 사회공헌 우수 프로그램 도지사상 수상으로 성과를 인정받았다.
간담회에서는 ▲여수시사회복지협의회 임채욱 회장이 민관 협력 필요성, ▲국립목포대 김영란 교수가 고령자 인터뷰 기반 연구, ▲광운대 이재언 연구원이 교통·통신 등 구조적 문제 해결을 각각 제언했다.
이랜드복지재단 관계자는 “섬이라는 지리적 한계는 복지의 한계를 의미하지 않는다”며, “진도군노인복지관이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더 많은 섬 어르신들의 삶의 질을 지킬 수 있도록 민·관·학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랜드복지재단은 앞으로도 해외 우수 모델 벤치마킹과 전문가 협력을 통해 도서 지역에 특화된 복지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전국 섬 복지의 대표 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