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블록체인 기업 미스릴(MITH)이 아시아 최대 소셜데이팅 플랫폼 기업 팍토르(Pakto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양사는 독보적인 매칭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미스릴 생태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미스릴은 다양한 글로벌 소셜 서비스와 협업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사용가능한 암호화폐로서 블록체인 업계 주요 통화로 자리 잡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더 많은 소셜데이팅 플랫폼을 확보할 예정이다. 미스릴 관계자는 “현재 미스릴은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홍콩, 마카오 등에서 가장 빠르게 활용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암호화폐로서, 이 지역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보다 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팍토르는 아시아에 2000만 명이 넘는 사용자를 보유하고 50억 회 이상의 매칭을 달성한 소셜 데이팅 플랫폼으로서, 한국에 ‘스와이프’라는 이름으로 2016년에 서비스를 출시했다. 2019년 대한민국 프리미엄 브랜드 대상에서 IT(소개팅 앱) 부문에 선정된 바 있다. 제프리 후앙 미스릴 대표는 “아시아 대표 소셜 데이팅 플랫폼 팍토르와 미스릴과의 만남으로 일상에서도 안전하고 유용하게 미스릴 암호화폐
블록체인 미디어 블록글로벌(BLOCK GLOBAL)과 글로벌 투자 고문 거래 플랫폼 빙본(Bingbon)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기술, 자원 및 재정적 자원을 활용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고 제품 업그레이드를 촉진하면서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힘쓴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브랜드 홍보, 커뮤니티 구축, 시장 확장 및 자원 통합을 위한 포괄적이며 긴밀한 협력을 진행할 계획이다. 블록글로벌은 블록체인 업계의 기업가 및 투자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선두 블록체인 기술 미디어 그룹이다. 미디어, 인큐베이션 및 투자를 포괄하는 한중 합작 팀 ‘코인인(Coinin)’ 등 블록체인 생태계 및 아시아 블록체인 미디어를 확보하고 있다. 에스토니아에 위치한 빙본은 2018년 홍콩 상장 기업 그랜드쇼어 테그놀로지(Grandshores Technology)로부터 1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이다. 가상자산뿐만 아니라 글로벌 지수, 상품, 외환 등 안전하고 효율적인 계약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빙본은 유럽 및 미국에서 공식
AI 얼굴 인식 기술의 선두주자 CyberLink가 IEI Integration Corporation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IEI의 산업용 컴퓨터에 FaceMe® AI 얼굴 인식 엔진을 탑재하게 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로써 CyberLink의 안면 인식 기술을 리테일, 보안 등 다양한 산업과 시나리오에 활용되는 스마트 AIoT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게 됐다. FaceMe®는 IEI의 FLEX-BX200 AI 모듈형 박스 PC에 통합되어 Mustang-V100-MX8 VPU(비디오 처리 장치)의 AI 가속화를 지원하며 보다 빠른 심층 신경망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을 제공한다. FaceMe®와 VPU의 통합으로 컴퓨팅 환경을 가속하면 순수 CPU 솔루션만을 사용할 때보다 17.4배 빠르게 얼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전력 소비량 역시 대폭 낮출 수 있다. CyberLink의 메이 쿠(Mei Ku) COO는 “얼굴 인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FaceMe®는 IoT 및 AIoT 혁신 트렌드에 발맞춰 대부분의 메인스트림 운영 체제 및 IoT/AIoT 하드웨어를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부가 가치 솔루션을 위한 기반 기술이 됐다”며 “IE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튜링상 수상자이자영지식 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 교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알고랜드가 마셜 제도 공화국(RMI)의 국가 디지털 화폐 발행을 위한 블록체인파트너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마셜 제도는 지난 2018년 2월 국가 디지털 화폐인 SOV(Marshallese sovereign)에 대한 발행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 회사인 SFB테크놀로지스가 전담하여 개발한다고 밝혔다. SFB 테크놀로지스는 디지털 화폐 발행을 위해 속도, 확장성, 컴플라이언스 관리 및 보안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시장 조사를 해왔으며, 최종적으로 알고랜드 프로토콜을 채택하여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마셜 제도는 알고랜드 블록체인으로 발행되는 디지털화폐를 법정 통화로 지정하여 현재 국가 통화인 미국 달러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고자 한다. SOV는 마셜 제도가 직접 관리하며 매년 공급량이 4%씩 고정적으로 늘어나는 구조로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방지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옥션 형태의 프리 세일을 통해 초기에 발행될 2400만 SOV 중 40%가 판매될 예정이다. 마셜 의회 의장인 케네스 케디(KennethKedi)는 “알고랜드와의 기술 제휴를 환영하고 있으며 SOV를 발
블록체인 기반 오픈소스 퍼블릭체인 플랫폼 오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The Open Application Network, The OAN)가 자사의 아이온토큰(AION)이 26일 오후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 원화마켓에 상장된다고 밝혔다. 지난 11월 ‘아이온 네트워크(Aion Network)’에서 ‘오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The OAN)’로 프로젝트명을 변경한 오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플랫폼들의 주요 문제를 해결하는데 주력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오픈 재단은 이미 자체 블록체인 The OAN을 기반으로 구축된 오픈 앱들을 통해 네트워크를 확장중이다. 운송수단을 앱으로 에너지를 절감하고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벨로시아(Velocia)의 경우 미국 내에서 약 3000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23,184kg의 탄소 배출 감소에 기여했다. 메트 스포크(Matt Spoke) ‘오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The OAN)’ CEO 겸 창업자는 “한국 최대 암호화페 거래소 빗썸 코리아에 상장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우리는 계속해서 The OAN의 고유한 디지털 자산인 아이온의 유동성을 확대하고, 오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가
암호화폐 지갑 애플리케이션 기반원스톱 결제 솔루션 프로젝트인 탭(TAP)이 애플리케이션 런칭을 통해 서비스를 정식 출시 했다고 25일 밝혔다. 탭은 모바일지갑 애플리케이션을 바탕으로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암호화폐를 매매할 수 있으며, 법정화폐를 지원하여 직불 카드를 통한오프라인 가맹점 결제까지 가능한 크립토 원스톱 결제 솔루션 프로젝트이다. 탭은 이번정식 출시를 위해 지난 2개월 간 베타 테스트 기간을 거쳤으며, 모바일 지갑 애플리케이션에 탑재될 암호화폐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그리고 자체 암호화폐 탭(XTP)을 선정했으며, 법정 화폐 중에서는 유로, 파운드, 달러를 우선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지갑에탑재되는 암호화폐는 한달 주기로 계속해서 추가될 예정이며, 현재는 입금 가능한 법정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미유럽권 국가를 대상으로 사용성을확보할 예정이다. 추후에는 아시아 권역까지도 규제를 준수하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탭의 공동설립자이자 COO인 데이비드 카(David Carr)는 “탭은 지난 두달간 진행된 베타 버전에서 사용성 테스트와 암격한 본인 인증 절차 등을거쳐 정식 출시를 발표하게 되었다
자바 스크립트와파이어폭스를 만든 브랜든 아이크의 프라이버시 중심의 웹브라우저 브레이브(Brave)가 스폰서 이미지를 통한 광고 수익 보상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브레이브에따르면 브라우저의 네 번째 새 탭 페이지마다 스폰서 이미지가 표시되며, 일반 배경 이미지와 번갈아서 스폰서 이미지가 노출될 예정이다. 브레이브브라우저는 브레이브 보상에 선택 동의한 사용자들에게 해당 광고 수익의 70%를 보상하며, 첫 번째 광고 파트너사로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업체블록파이(BlockFi)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블록파이는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회사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담보로 법정화폐를 대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블록파이는 스폰서 이미지를통해 광고 캠페인을 제공하며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및 영국 소재의 브레이브 사용자들이 해당 광고를 시청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브레이브의 CEO인 브랜든 아이크는 “블록파이와 스폰서 이미지를 노출하여 광고 수익을 실제로 시청자들에게 돌려줄 수 있는 캠페인을 진행하게 되어 기쁘다”며 “스폰서 이미지는 전체 브레이브 생태계의 확장은 물론 광고 시청자와 광고주의 직접 연결로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수 있을 것”이
글로벌 통합 금융 솔루션 기업 페이오니아가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발표한 ‘2020 핀테크 50(Forbes Fintech 50)’에 처음으로 선정됐다. 2015년부터 전 세계 가장 혁신적 핀테크 기업을 발표해온 포브스는 2020년 ▲개인금융(12) ▲결제(9) ▲부동산(7) ▲블록체인·비트코인(6) ▲보험(6) ▲투자(4) ▲엔터프라이즈(4) ▲B2B 대출(2) 총 8개 부문에서 50개 기업을 선정했다. 페이오니아(Payoneer)는 결제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페이오니아는 400만명 이상의 고객들을 둔 글로벌 기업으로 전 세계 22개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핀테크 50에 선정된 기업 중 드물게 한국 지사를 설립해 한국 온라인 셀러와 중소기업, 다양한 분야의 프리랜서 등을 위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며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개방형 금융결제망 플랫폼 기업 ‘옵타일(optile)’을 인수해 고객의 글로벌 성장을 돕는 플랫폼으로 영역을 지속적으로 넓혀가고 있다. 이우용 페이오니아 코리아 대표는 “페이오니아가 2020년 전 세계 50대 핀테크 기업에 처음으로 선정되어 영광”이라며 “2018년 한국 지사 론칭 이후 페이오니아는 글로벌
암호화폐 정보공시 플랫폼 쟁글(Xangle)을 운영하는 크로스앵글(CrossAngle)이 인도네시아의 블록체인협회(Asosiasi Blockchain Indonesia)와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13일 밝혔다. 인니 협회는 연내 정비될 인도네시아 정부 규제에 맞게 쟁글의 공시 정보를 활용할 계획이다. 쟁글 공시가 제도권화 초석을 위해 이용되는 첫 사례다. 쟁글은 프로젝트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해 기업 정보와 공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암호화폐 공시 플랫폼이다. 암호화폐를 포함한 디지털 자산 가치가 국경과 언어를 초월해 거래될 때, 보다 투명하게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정보를 통합∙표준화하는 것이 목표다. 쟁글과 파트너십을 맺은 인니 협회는 인도네시아 내 유일한 블록체인 협회로, 총 9개의 암호화폐 거래소가 소속돼 있다. 인니협회는 정책 당국 관계자와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블록체인 산업 교육 등을 진행해,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지원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공시를 실제 제도권화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첫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인니협회는 연내 정비될 인도네시아 정부 정책에 따라 쟁글 공시 정보를 활용한다. 인도네시아 정부에 암호화폐 거래소들에 이미 상장된 프로젝트
DB3 Digital Bank가 2020년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을 공략한다. DB3 Digital Bank는 현재 역량 강화와 함께 2020년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디지털 금융 산업에서 시장 점유율 향상을 도모할 것으로 보인다. DB3 Digital Bank는 DB3 International Holding Limited가 2019년 한해 막대한 자본 축적과 집약적인 기술 연구 발전을 이루었다고 밝혔다. 그 노력은 성과로 이어졌으며 다양한 국제 금융 컨소시엄과 금융 전문가들의 지원이 늘어나고 있다. DB3는 업계의 찬사와 함께 2020년 자사의 상품과 서비스를 더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DB3 International Holding Limited는 자본금 1억파운드 규모의 영국 기업으로 가상 화폐, 블록체인, 은행업이 주요 사업 분야이다.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개인 역외 은행 라이선스를 등록했으며 주로 기관이나 고액 순자산 보유자를 고객으로 글로벌 디지털 자산 투자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9년 말 Daily Herald, USA Today Finance, Pittsburgh Post-Gazette, Fox News를 비롯한 여러 국